연구개발 개요
연구개발 필요성
전기전자분야 업종 특성
- 수명주기가 짧고 고도화, 다양화 되고 있는 전자제품 및 소자 소형화/경량화 요구 증대로 생산장비 지능화 필요
- 자동화 장비와 수작업 작업 환경 혼재로 인한 생산효율 저하 및 생산 공정 개선 필요
- 소형부품, PCB원판 등 취급 난이도 높은 부품/소재에 대한 고도화/지능화된 D.N.A기반 표준모델 필요



전기전자분야 로봇-장비 디지털 매뉴팩처링 패키지 표준모델 개발
수작업
- 단순 반복 수작업
단순 반복 수작업 작업자 고용으로 인한 인건비 부담 및 품질 저하
- 작업자 유해환경 노출
반복 수작업, 유해환경(화학약품 등)으로 인한 작업자의 유해환경 노출
- 고용, 유해환경, 낮은 생산성 및 품질로 인한 자동화 적용 추세
단순 반복 수작업 작업자 고용으로 인한 인건비 부담 및 품질 저하
- 작업자 유해환경 노출
반복 수작업, 유해환경(화학약품 등)으로 인한 작업자의 유해환경 노출
- 고용, 유해환경, 낮은 생산성 및 품질로 인한 자동화 적용 추세

- 공정 중심의 자동화
다양한 공정에 적용 불가한 커스터마이징 형태의 솔루션
- 작업자 대체 중심의 자동화
단순 수작업 대체, 유해환경 개선 목적 자동화 수준
- 지능화/디지털화 기반 제조공정 전환 및 보급/확산 한계
다양한 공정에 적용 불가한 커스터마이징 형태의 솔루션
- 작업자 대체 중심의 자동화
단순 수작업 대체, 유해환경 개선 목적 자동화 수준
- 지능화/디지털화 기반 제조공정 전환 및 보급/확산 한계

- 로봇-장비 연계 기반 패키지화
다양한 공정에 적용 가능한 표준 형태의 패키지형 솔루션 개발
- 공정/생산 운영/관리 중심
D.N.A(Data, Network, A.I) 활용한 공정/생산 운영/관리 중심 자동화 수준 목표
- 자동화/지능화/디지털화된 스마트 제조공정 보급/확산 필요
다양한 공정에 적용 가능한 표준 형태의 패키지형 솔루션 개발
- 공정/생산 운영/관리 중심
D.N.A(Data, Network, A.I) 활용한 공정/생산 운영/관리 중심 자동화 수준 목표
- 자동화/지능화/디지털화된 스마트 제조공정 보급/확산 필요
사례 - AOI 검사장비






비디지털화 | 로봇 및 장비내 생성되는 데이터 독립 관리 및 운용 |
---|---|
비네트워크화 | 로봇-장비 내 네트워크 부재로 생산성 및 대응능력 저하 |
비스마트화 | 단순 로봇 도입으로 운영/관리 솔루션 연계 부재 |



Data | 제조 현장 데이터(장비 운용, 자재, 공정상태 등)실시간 수집 및 DB 환경 구축/분석 |
---|---|
Network | 로봇-장비/장비-MES 간 유기적 네트워크 연결을 통한 전기전자 디지털전환 강화 |
AI | 장비 운용 데이터 기반 인공지능 장비 운용 스케줄러 및 운용 장비 스마트화 |
목표 공정 및 생산 설비
업종(공정) 선정 기준
- 필요성 : 소재의 준비나 소재의 이송같은 작업자의 피로도, 시간요소 등이 작업자에 의존하는 공정
- 활용도 : 실제 로봇 보급의 대상이자 사용자인 제조업체나 SI업체에서 많이 요구하고, 다른 공정들과 작업 공통점이 많은 공정
- 효과성 : 로봇을 도입함으로써 더 많은 작업량을 수행할 수 있고, 제품의 퀄리티를 상승시킬 수 있는 공정
- 적합성 : 작업환경이 작업자에게 유해한 환경이거나 수작업으로 하기 힘든 부분을 로봇으로 대체할 수 있는 공정
- 시급성 : 단순반복작업에 따른 작업기피 및 인력수급이 쉽지 않고 소재 준비 등에 시간이 많이 소요되는 공정
-
업종(공정) 선정 기준
-
PCB WET 공정
-
PCB 적층 공정
-
PCB 가공 공정
-
X-Ray 검사 공정
-
솔더링 검사 공정
-
솔더링 검사 공정
-
반도체 테스트 공정